본문 바로가기
인간공학기사

인간공학기사 실기 기출문제(2023년 2회)

by 내이름삼순 2024. 11. 8.

1. 다음 보기 중 Fail-Safe의 사례

 ① 자동차 후방카메라가 설치된 차량

 ② 엔진을 두 개 장착한 비행기

 ③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④ 넘어졌을 시 자동으로 작동이 꺼지는 난로

 ⑤ 뚜껑을 누르고 돌려야 열리는 약병

➜ ②, ③

 

2. 제조물책임법에서 제조물 결함의 종류에 대한 정의

- 제조상의 결함 :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원래의 도면이나 제조 방법대로 제품이 제조되지

                      않았을때도 여기에 해당

- 설계상의 결함 : 제품의 설계 그 자체에 내재하는 결함으로 설계대로 제품이 만들어졌더라도 결함으로 판정

                     된 경우이다. 제조자가 합리적인 대체 설계를 채용했더라면 피해나 위험을 피할 수 있었음에

                     도 대체설계를 채용하지 아니하여 당해 제조물이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이다.

- 표시상의 결함 : 제조업자가 합리적이 설명・지시・경고 또는 그 밖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해당 제조물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한다.

 

3. 다음을 보고 RWL과 LI 지수를 구하고 조치 방법을 기술

작업물 무게 HM VM DM AM FM CM
8kg 0.45 0.88 1.00 0.95 0.92 0.80

1) RWL = LC × HM × VM × DM × AM × FM × CM

          = 23 × 0.45 × 0.88 × 1.00 × 0.95 × 0.92 × 0.80 = 6.37

2) LI 지수 = 작업물 무게 / RWL = 8 / 6.37 = 1.26

3) 조치 방법 : LI가 1보다 크므로 요통 발생의 위험이 높다. LI가 1 이하가 되도록 작업을 설계/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4. 수의근과 불수의근 뜻

1) 수의근 :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으로 골격근이 이에 속한다.

2) 불수의근 :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는 근육으로 심장근이 이에 속한다.

 

5. 산업안전보건 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 5가지

- 위험성 평가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 사업 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분석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조언

-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조언・지도

- 사업장 순회 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

-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 유지

 

6. 근육 수축 시 미오신과 액틴은 길이가 변하지 않는다. 이때, 액틴과 미오신이 중첩된 짙은 갈색 부분을 무엇

 이라 하는가?

 - A 대

 

7. 국내에서 총 8시간 동안 작업을 하면서 90 dB에서 4시간, 95 dB에서 3시간, 100dB에서 1시간의 소음에

 노출 되었을 때 소음 노출지수 와 TWA(시간가중평균 지수) 값을 구하시오

1) 소음 노출지수 = 노출시간(C)/허용 노출시간(T)(%)

                       = [C1/T1 + C2/T2 + .....+ Cn/Tn] x 100 = (4/8 + 3/4 + 1/2) x 100 = 175.0

2) TWA(dB) = 16.61 log(D/100) + 90 = 16.61 log(175/100)+90 = 94.04 dB

 

8. 다음 경우 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인체치수 설계 원칙

 엘리베이터의 중량 하중
 그네의 중량 하중
 ① (최대집단 값에 의한 설계​)
 버스 손잡이
 선반의 높이
 ② (최소 집단 값에 의한 설계​)
 은행 창구 높이  ③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자동차 좌석의 전후 조절
 사무실 의자의 상하 조절
 ④ (조절식 설계)

 

9. 시력이 0.5일 때 링스톤 1.5mm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를 구하시오. (단,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시각 = 1/시력, 시각 = 57.3×60× (D / L) ( D = 물체의 크기, L = 거리)

시각 = 1/0.5 = 2

2 = 57.3×60×(1.5 / L)

L = ( 57.3×60×1.5)/2 = 2,579.6178(mm)

 

10. 아래 그림을 보고 주공정경로와 주공정시간을 구하시오

- 주공정경로 : 10 - 20 - 50

- 주공정시간 : 9주

 

11. 5개 공정에서 주기시간이 6분인 경우 평균 효율을 구하시오

1공정 2공정 3공정 4공정 5공정
5분 4분 3분 4분 6분

평균 효율(%) = (총 작업시간/작업장 수 x 주기시간 ) x 100

= (5+4+3+4+6 / 5x6) x 100 = 73.33

 

12. 작업 개선의 ECRS의 원칙 4가지

- 제거(Eliminate) : 불필요한 작업, 작업요소를 제거

- 결합(Combine) : 다른 작업, 작업요소와의 결합

- 재배치(Rearrange) : 작업의 순서 변경

- 단순화(Simplify) : 작업, 작업요소의 단순화, 간소화

 

​13. 인간공학 실험 시 고려해야 할 평가 기준 종속변수 3가지

- 시스템 기준, 작업 성능 기준, 인간 기준

 

14. 전자회사에서 작업자가 정밀 작업을 하고 있다. 손, 손목에 부담이 가는 근골격계 질환 3가지

- 수근관증후군, 건염, 결절종

 

​15.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적 개선방안 3가지

- 작업의 다양성 제공

- 작업 일정 및 작업 속도 조절

- 작업 습관 변화

- 근골격계 질환 예방체조의 도입

- 근골격계 질환 관련 교육 실시

- 유해요인 조사 및 작업환경 개선

- 작업자 교대

- 작업자에 대한 휴식시간 제공

 

16. 시거리가시 거리가 71cm 일 때 단위 눈금 1.8mm, 시 거리가 91cm 되면 단위 눈금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구하시오.

  71cm : 1.8mm = 91 cm : x 

  x = 1.8 x 910 / 710 = 2.31mm

 

17. 산업안전보건 법령상, 근골격계 부담 작업 관련하여( )를 채우시오

- ( 근골격계 부담 작업 )이란 단순 반복 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작업량․작업 속도․

 작업강도 및 작업장 구조 등에 따라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 ( 근골격계 질환 )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 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 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 다리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 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 (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 )이란 유해요인 조사, 작업환경 개선, 의학적 관리, 교육․훈련, 평가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될 근골 결계 질환을 예방․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말한다.

 

18. 반사경이 없이 모든 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점광원에서 2m 떨어진 곳의 조도가 120 lux라면 3m 떨어진

 곳의 조도는 얼마인지 계산하고, 작업환경에 관한 조명의 적합성을 판단하시오.

: 조도 = 광량/거리 ²

 120 = 광량 / 2², 광량 = 120 × 2³ = 480

- 3m 떨어진 곳의 조도 =480 / 3² = 53.33 lux

- 적합성 판단 : 그 밖의 조도기준 75 lux 이하이므로 작업환경에 부적합